본문
1. 인접대지 와 경계측량후 건물방향 및 위치를 결정합니다.
2. 지반상태,기초높이,철근배치 등을 고려하여 기초공사를합니다.
3. 정화조 위치를 고려하여 하수관 및 상수관을 매립합니다.
4. 가능하면 전기 및 통신선로 를 사전에 매립합니다.
2. 지반상태,기초높이,철근배치 등을 고려하여 기초공사를합니다.
3. 정화조 위치를 고려하여 하수관 및 상수관을 매립합니다.
4. 가능하면 전기 및 통신선로 를 사전에 매립합니다.
1.시공도면(Shop drawing) 작성
▲ 건축도면을 기초로하여 시공도면(Shop drawing)을 작성합니다.
▲ 자중하중, 적설하중, 해당지역의 기후변화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어질 자재를결정합니다.
▲ 내력벽체, 비내력벽체, 래프터(서까래)의 종류를 결정합니다.
▲ 벽체를 세분화하여 개구부의 크기, 해더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벽체 시공도면을 작성합니다.
▲ 지붕의모양, 지붕재의종류, 물매, 처마길이 등을 고려하여 래프터 시공도면을 작성합니다.
2.자재산출서 및 일정별공사계획
▲ 시공도면을 기초로하여 자재를 산출하고 운송규모, 운송시기 등을 결정합니다.
▲ 공정별 공사계획을 작성하여 공사관리 및 자재의 수급, 인력투입시기 등을 결정합니다.
3. 벽체제작 및 설치
▲ 지붕모양은 전체의 집모양을표현하고 하자의 우려가 많은곳이므로 신중히 결정 되어져야 합니다.
▲ 래프터설치는 트러스방식과 다르게 처마끝이 벽체의 상단보다 내려져 설치되므로 창호 및 외부출입문 등의 높이를 확인하여야 합 니다.
▲ 래프터설치 후 컬러타이,실링조이스트,스트롱백 등으로 충분히 보강하여 적설하중 등의 각종하중으로부터 안전하게 설치 되어져 야 합니다.
<북미산 S.P.F구조용 목재사용>
<구분/자재/등급/기능>
<벽제작 및 설치>
<벽제작 및 설치>